르완다 대학살, 포토 프리뷰
1994년, 르완다에서는 약 100일 동안 100만 명이 사망한 20세기 말 최악의 학살, ‘르완다 대학살’이 발생했다. 이는 다수 민족 후투족이 소수 민족 투치족을 상대로 한 조직적 집단학살이었다.
벨기에 사제 도를로도는 당시 상황을 두고 “85%의 후투족과 15%의 투치족 각자의 권리를 존중하는 협상된 정치적 해결책이 필요하다”며 다수주의를 신학으로 주장했다. 이 프레임은 섬뜩한 논리를 드러낸다. 도를로도는 인구 다수에게 ‘정당성’을 부여함으로써 제노사이드를 가능하게 만든 바로 그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한다. “85% 대 15%”의 이분법은 후투 우월주의 프로파간다의 초석이었다. 이는 인종 배제, 재산 몰수, 그리고 궁극적으로 대량학살을 정당화하는 사이비 민주주의적 논리였다.
부조리는 스스로를 드러낸다. 바티칸은 도를로도 신부와 같은 사제들에 대해 어떤 입장을 밝혔는가? 공개적인 질책이나 교정, 교리적 훈계는 전혀 없었다. 그래서 그의 대량학살 부인 신학은 회개 없이 용서만 바라는 사람들 사이에서 지금도 퍼지고 있다.
『기독교와 르완다 집단학살』의 저자 티모시 롱맨은 “가톨릭과 개신교 교회가 모두 살인에 도덕적 허가를 부여함으로써 대량학살을 가능하게 하는 데 일조했다.”고 고발했고, 그의 논문 『교회 정치와 르완다의 대량 학살』에서는 “교회의 지배적 메시지는 이웃 사랑과 자비가 결코 아니었다. 교회는 민족적 증오와 살인을 직접 설교하지는 않았다 하겠지만, 르완다에서의 행보는 기독교가 세력 확장을 위해 마키아벨리적 조작(권력 유지를 위해 거짓말, 기만, 잔인함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정치적 술수나 조작)을 허용하고 인종차별을 받아들인다는 실증적 사례였고, 이는 집단 학살을 지지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기독교인들이 배운 신학과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최종적으로 결론지었다.
학살이 일어난 지 31년이 지났다. 가톨릭교회는 당시부터 오늘날까지 르완다 대학살에 대한 교회의 책임에 대해 ‘교회 자체가 아니라 교회 구성원들 개인의 잘못’이라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르완다 대학살은 개인의 일탈에서 비롯된 것일까, 오염된 집단의 일각이 드러난 것일까?
▸관련기사 10·11면 『벨기에 신부와 대량학살의 신학』